본문 바로가기
정치 사회

버드 스트라이크(Bird Strike): 항공기와 조류 충돌의 위험성과 예방 대책

by SunshineBliss 2024. 12. 30.
728x90
반응형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기가 비행 중 조류와 충돌하거나 엔진으로 새가 빨려 들어가는 사고를 뜻합니다.

이러한 사고는 항공 안전과 승객의 편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이착륙 시 발생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글에서는 버드 스트라이크의 정의와 발생 원인, 국내외 사례, 그리고 예방 대책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봅니다.

버드 스트라이크란 무엇인가?


버드 스트라이크는 영어로 “Bird Strike”라고 불리며, 항공기가 비행 중 조류와 충돌하거나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는 사고를 뜻합니다.

이는 항공 사고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히며, 항공기 구조와 운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요 특징


• 발생 위치: 주로 지상 2.5km 이하의 저고도 구간에서 발생.

• 위험 시기: 항공기의 이륙과 착륙 중에 충돌 가능성이 높음.

• 주요 피해: 항공기 엔진, 동체, 조종석 유리 등의 손상.

버드 스트라이크의 주요 발생 원인


1. 공항 주변 환경

공항은 넓은 평지와 초지가 많아 조류가 서식하거나 먹이를 찾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공항 주변에 물웅덩이, 초지 등이 있으면 새들이 모여들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계절적 요인

철새 이동 시기인 봄과 가을에는 조류의 활동이 증가하여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3. 항공기 운항 특성

항공기의 이착륙 과정은 저고도 비행이 이루어지며, 이는 조류와의 충돌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버드 스트라이크의 위험성


1. 엔진 손상

조류가 항공기의 제트 엔진에 빨려 들어가면 팬 블레이드가 손상되거나 심각한 경우 엔진이 정지하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례: 무게 900g의 청둥오리가 시속 370km로 비행 중인 항공기와 충돌하면 약 4.8t의 충격이 발생합니다.

• 대처: 항공기는 2~4개의 엔진을 장착해, 한 개의 엔진이 손상되더라도 안전 비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2. 동체 및 조종석 유리 손상

새와의 충돌로 인해 항공기의 동체가 찌그러지거나, 조종석 유리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특수 강화 유리와 다층 구조의 유리가 사용됩니다.

3. 승객과 항공사의 피해

• 승객 불편: 회항, 지연 등으로 인한 시간 손실.

• 경제적 손실: 항공기 수리 비용과 운항 차질로 발생하는 추가 비용.

국내 버드 스트라이크 사례


발생 통계


2023년 10월 25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 8월까지 국내 공항에서 총 500건의 버드 스트라이크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 연도별 건수:
• 2019년: 108건
• 2020년: 76건
• 2021년: 109건
• 2022년: 131건
• 2023년(8월까지): 76건

• 공항별 건수:
• 김포공항: 115건
• 김해공항: 112건
• 제주공항: 81건
• 인천공항: 63건

회항 사례


2019년 이후 버드 스트라이크로 인해 국내 공항에서 항공기가 회항한 사례는 총 6건입니다.

• 김포공항과 인천공항: 각 2건
• 김해공항과 울산공항: 각 1건

예시:
• 2023년 1월, 김포공항에서 제주행 아시아나항공 항공기가 조류와 충돌해 약 3시간 만에 회항.

• 2022년 4월, 인천공항에서 호찌민행 여객기가 호랑지빠귀와 충돌해 30분 만에 회항.

버드 스트라이크 예방 및 대응 방안


예방 인력 현황


2023년 기준, 국내 공항에서 버드 스트라이크 예방에 투입된 전담 인원은 총 113명으로, 지난해보다 17명 증가했습니다.

• 인천국제공항: 38명
• 그 외 14개 공항: 75명

이와 같은 인력은 항공기 이착륙 구역에서 상시 근무하며 조류를 감지하고 쫓아내는 다양한 활동을 수행합니다.

1. 조류 퇴치 장비와 요원

인천국제공항은 조류 퇴치 요원들이 상시 근무하며 다음과 같은 조치를 시행합니다.

• 경보음 사용: 새들의 천적 소리와 고통받는 소리를 재생해 조류를 쫓아냄.

• 공포탄과 엽총: 조류를 직접 쫓아내거나 포획.

• 이동형 장비: 바람에 흔들리는 인형, 레이저 장비 등을 설치해 조류의 접근 차단.

2. 환경 관리

• 서식지 관리: 공항 주변 물웅덩이 제거 및 초지 관리.

• 농작물 통제: 공항 주변 농작물 재배와 조류 먹이 제거.

3. 기술적 대응

• 조류 감지 레이더: 드론과 레이더를 활용해 조류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추적.

• 장비 변경: 조류가 학습하지 못하도록 장비의 위치와 작동 방식을 주기적으로 변경.

4. 국제 협력 및 연구

• 학술 협력: 공항 당국, 항공사, 학계가 협력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

• 국제 협력: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협력해 예방 가이드라인 공유.

해외 버드 스트라이크 사례


1. 뉴욕 허드슨강 기적

2009년 뉴욕 라과디아 공항에서 이륙한 US Airways 여객기가 철새와 충돌해 양쪽 엔진이 정지했습니다. 조종사는 기지를 발휘해 허드슨강에 비상 착륙하여 전원이 구조되었습니다.

2. 유럽과 아시아의 사례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대규모 공항을 중심으로 버드 스트라이크 사고가 자주 발생하며, 국제적 협력을 통해 예방 대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버드 스트라이크는 항공 안전과 승객의 편의를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 기술적, 환경적, 인적 자원이 적극 활용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조류 퇴치 요원과 장비를 활용한 예방 조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학계와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현재 무안공항 사고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와 관계 기관은 철저한 조사를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정확한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조류 충돌로 인한 사고 원인을 단정 지어서는 안 되며, 섣부른 예측은 유가족들에게 상처를 줄 수 있습니다.

철저한 조사와 항공 안전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참고자료
1. 국내서 5년간 ‘버드 스트라이크’ 500건 발생… 회항 사례도 6건

2. 항공상식 Q&A: 조류 충돌 예방을 위한 조치 – 대한항공 뉴스룸

728x90
반응형